만성 통증은 질환이다.’
계속되는 통증을 방치하면 신경이나 세포가 손상되고, 통증 스트레스로 인해 다양한 질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적극 치료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대한통증학회가 최근 국내 통증환자 10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만성 통증으로 인한 수면장애를 꼽은 비율이 60.1%로 가장 높았다. 우울감 44.2%, 집중력 및 기억력 감소 40.3%, 불안감 36.7% 등 부정적인 심리경험이 높은 순위에 포함됐다. 이어 경제활동 제한 34.4%, 가정불화 9.5%, 실직 8.1% 등 다양한 일상생활의 불이익까지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35%는 통증으로 자살충동까지 느꼈다고 답했다. 통증이 사회적인 문제로 확대될 위험이 높다는 방증이다.
만성 통증의 조기 치료는 우선 통증의 만성화를 방지하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일차적인 치료는 진통제 투여다. 약한 통증에는 비스테로이드 소염제, 심한 통증에는 마약성 진통제 처방이 흔히 이뤄진다. 마약성이라도 일반 마약처럼 중독 증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문 교수는 “만성 통증 환자는 오랜 기간 진통제를 투여해야 하기 때문에 중독성, 내성, 금단증상 등이 적어야 하며 복용 횟수 감소 등 편리성이 높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노인이나 암 환자 등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간이나 신장에 독성을 끼치지 말아야 한다.
문 교수는 “최근 피부를 통해 약물을 전달하는 패치제가 나와 약물 사용의 편리성이 커지고, 일정하고 지속적인 진통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에는 주 1회 부착하고 7일간 약효를 지속시킬 수 있는 제품(성분명 부프레놀핀) 등 패치형 진통제 두 가지가 나와 있다. 건강보험 적용으로 처방된다.
세연통증클리닉 최봉춘 원장은 “요즘 만성피로증후군으로 인해 가벼운 요통이나 근육통을 겪는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며 “이런 상태를 오랜 시간 방치하면 만성 통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밝혔다. 만성 통증 환자들이 호소하는 집중력 저하, 기억력 장애, 수면장애, 두통, 근육통, 관절통 등은 만성피로증후군과 비슷하므로 감별진단이 필요하다. 약물로 한계가 있는 급·만성 통증은 환부에 직접 마취제 성분을 주사하거나 신경차단술 등 비수술적 통증치료로 크게 완화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