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통증은 등에 심한 통증이 느껴지거나 통증이 팔로 뻗치게 느껴지는 경우 의심해볼 수 있다. 골반(엉치)에서 다리로 뻗치는 듯한 통증이 심하거나, 옷 등에 닿기만 해도 아프고, 찬바람을 쏘이면 아리는 것처럼 아플 때도 만성통증으로 진단한다.
작은 자극에도 살갗에 전기가 통하거나 칼로 베는 듯한 느낌이 들 때, 대상포진 치유 후에도 3개월 이상 통증이 사라지지 않고 계속될 때, 수술 후 상처가 아문 후에도 통증이 계속 남아있을 때도 만성통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이밖에도 머리나 얼굴, 어깨, 팔, 옆구리, 흉부 등에서 분명히 통증이 느껴지는데 그 통증의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 만성통증으로 진행된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문제는 진단이 제대로 되지 않아 통증을 병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 정신적인 현상으로 치부하는 사례도 적지 않아 방치되고 있는 경우도 많다.
문동언 서울성모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는 "통증은 그 자체가 질환"이라며 "외상으로 인한 직접적인 통증은 물론 원인질환이 치료된 후에도 신경손상 등으로 인해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급성통증이 병이나 외상 등에 의한 감각 신경계의 생물학적인 반응인 반면, 만성 통증은 병이 진행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조직 손상의 정도와 관계없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문 교수는 "무조건 참는 것이 이기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통증치료에 있어서는 독이 될 수 있다"며 "통증을 방치하면 신경계에 변화가 생겨 만성통증이 되고 수면 장애, 우울증, 불안 증 2차 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통증은 가족과 주변사람들의 협조를 통한 정서적인 안정이 필수다. 만성통증 환자 2명 중 1명이 우울증을 겪고 있는 상황인 만큼 환자의 감정적인 문제가 잘 다스려져야 치료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치료과정에서 통증단계에 따라 의료용 마약성 진통제를 처방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마약 중독을 우려하는 환자들도 적지 않은 것이 현실. 하지만 알코올 중독 등 약물 남용 경력이 있는 사람을 제외하고는 안심하고 써도 될 정도로 중독 가능성은 낮다.
문 교수는 "마약성 진통제의 흔한 부작용은 변비로 환자의 30%에서 나타난다"며 "마약성 진통제의 긍정적인 부분을 극대화시키는 방식으로 알맞은 치료가 이뤄진다면 부작용 걱정에서 안심해도 된다"고 말했다.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1100522532507507&outlink=1